반응형
반응형
1. 2025년 확정 요율 한눈에 보기
보험 | 근로자 | 사업주 | 합계 | 주요 포인트 |
---|---|---|---|---|
국민연금 | 4.5 % | 4.5 % | 9 % | 상한 637만원, 하한 40만원 (7월 조정) |
건강보험 | 3.545 % | 3.545 % | 7.09 % | 2년 연속 동결 |
└ 장기요양(건보의 12.95 %) | +0.459 % | +0.459 % | +0.918 % | 비율 동결 |
고용보험 | 0.9 % | 0.9 % + 0.25 ~ 0.85 % |
1.8 % + α | 사업주 추가부담 규모별 차등 |
산재보험 | – | 0.7 ~ 18.7 % (평균 1.47 %) |
– | 업종별 요율 차이 큼 |
2. 보험 종류별 깊게 파보기
- 국민연금 – 상·하한 인상으로 고소득자 월 부담 1,800원 ↑, 추후 납입 이자율 4.2 → 3.8 % (’25-04-01).
- 건강보험 + 장기요양 – 동결이나 분리과세 소득 3,000만↑ 반영 범위 확대.
- 고용보험 – 사업주 추가부담 (150인 미만 0.25 % / 1,000인↑ 0.85 %).
- 산재보험 – IT 0.7 % ↔ 건설 18 % … 업종 코드 확인 필수.
3. 월급별 실수령액 시뮬레이션
월급 | 국민연금 | 건보 | 장기요양 | 고용보험 | 공제 합계 | 실수령액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2,000,000 | 90,000 | 70,900 | 9,182 | 18,000 | 188,082 | 1,811,918 |
3,000,000 | 135,000 | 106,350 | 13,772 | 27,000 | 282,122 | 2,717,878 |
4,000,000 | 180,000 | 141,800 | 18,363 | 36,000 | 376,163 | 3,623,837 |
5,000,000 | 225,000 | 177,250 | 22,954 | 45,000 | 470,204 | 4,529,796 |
6,000,000 | 270,000 | 212,700 | 27,545 | 54,000 | 564,245 | 5,435,755 |
7,000,000* | 286,650 | 248,150 | 32,135 | 63,000 | 629,935 | 6,370,065 |
* 7백만 원 초과 시 국민연금은 637만 원 × 4.5 %로 고정.
4. HR 담당자 실무 체크리스트
- 상·하한액 자동 반영: 기준소득월액·건보보수월액 테이블 7월 업데이트 사전 테스트.
- 두루누리·고용창출장려금 최신 가이드 안내: 10인 미만 사업장은 90 %까지 리펀드 가능.
- 산재보험 업종 코드 오기입 방지: 인쇄·제책 0.9 % ↔ 건설 10% 이상, HR시스템 업종별 요율 DB 재점검.
- 2026~33 국민연금 인상 시뮬레이션: 인사비 예산·채용오퍼 산정에 미리 반영.
5. 자주 묻는 Q&A (추가)
Q&A
4대보험이 ‘퇴사 달’에도 전액 공제되나요? | 입·퇴사일이 말일이 아닌 경우 일할 계산(국민연금·건보)·1일도 근무하면 전액(고용·산재) 등 보험별 차이 존재. |
외국인 근로자 국민연금 적용? | 이중협정국(미·캐·싱 등) 국적자는 면제, 미협정국은 동일하게 9 % 적용. |
건보 보수외(성과급) 정산 시점? | 매년 3월: 전년도 지급 총액 확정 → 4월분 급여에서 1회 추가 공제. |
반응형
'직장인 꿀팁 (by 인사쟁이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고용노동부 정책 총정리 (2) | 2025.07.07 |
---|---|
2025년 달라지는 육아휴직·출산휴가 제도 FAQ & 실무 가이드 (0) | 2025.07.06 |
2025년 최저임금 완전정복 (0) | 2025.07.06 |
2024년 최저임금 최저시급 결정 (0) | 2023.07.19 |
2023년 육아휴직의 A부터 Z까지의 모든 것 (0) | 2022.12.16 |
댓글